본문으로 바로가기

좋은 동영상과 책을 찾아 시간나는데로 계속 보고 있습니다.

제1부는 은행과 자본에 대해서 설명을 하는 동영상이었네요.

반면 제 2부는 소비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1부에 비해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만 2부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2부 - 소비는 감정이다


우선 우리는 소비의 시대에 살고 있고 소비를 할수 있는 주변환경에 많이 노출이 됩니다.

주변을 지날때도 수많은 광고판이 우리의 관심을 끌고 티브를 보던 인터넷을 하던 수많은 소비를 할수 있게 광고에 노출됩니다.

사실 기업은 물건을 만들고 사람들이 소비를 해서 그 이윤으로 돌아가는 곳입니다.

경쟁이 심화될수록 기업은 사람들의 자사의 제품을 구입하게 하기 위하여 많은 광고 또는 홍보를 합니다.


우리의 소비를 부추길수 있도록 기업들의 많은 전략이 보여지게 됩니다.


첫번째 소비의 되물림을 생각합니다.


그 첫번째로 아이들에게 한가지 상품을 찾도록 영향을 주는 것이죠.

그아이는 나중에 커서 자녀를 가져도 당시 내가 사용했던 물건에 영향을 받아 다시 아이에게 권유하게 됩니다.

또한 아이의 상품이 아니지만 가족이 사용하는(구입하는) 매장의 경우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상품이 같이 배치 되어있습니다.

판매자 역시 상품접근에 앞서 아이에게 관심을 이끌어내고 아이에게 잘해줍니다.

아이에게 잘해주면 부모는 기분이 좋죠. 자연스럽게 구매까지 결정이 됩니다.


두번째 소비의 주체를 정하는 것입니다.  


현대의 시기는 소비의 시대이고 어느 나라 어느 가정이든 소비의 주체는 여성이다라는 점입니다.

여성은 남편과 아이의 소비를 구입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현재는 남성과 여성의 상품의 구별이 사라지는 추세로 여성을 잡으면 남성도 따라오게 됩니다.


세번째는 마케팅의 전략입니다.


우리는 소비를 할때 무의식의 영향을 받습니다.

물건을 보고 5각을 자극하여 무의식의 95%의 영향으로 사고 싶다는 결정을 하게 됩니다.


모든 매장에 있는 CCTV는 단지 범죄 감시용이 아닙니다. 

마케터들은 CCTV를 통해 구매자의 모든 것을 관찰합니다.

마케터들은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합니다.

. 늘어나는 카트의 크기

. 동선을 연구하고 물건을 배치 

. 다이어트 식품에는 날씬한 배우가 등장하고

. 주방용품에는 잘생긴 남자배우가 등장하여 요리를 합니다.

. 한정적인 수량임을 강조, 나만 안하는 것이 아닌가 등 심리적인 불안도 자극합니다. 


모든 상품은 상대방에게 어떻게든 알려야합니다. 

그것을 하기위하여 마케팅을 계획하고 광고에 돈을 쏟아붙고 자신의 상품을 주변에 알리게 PR을 합니다. 

요새는 SNS의 등장으로 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죠

이렇게 자신의 제품을 알리다 자신의 제품이 어느정도 인지도가 쌓이면 이젠 브랜드를 알이기 시작합니다.


마케팅은 직접 자신을 알리는 것이면 광고는 자신이 돈을 많다고 세뇌를 시키는 것이죠.

PR은 제3자를 통해 자신을 알리는 것입니다.

위 3가지는 자신의 제품을 직접적으로 알린다고 보면 

기업이 최종적으로 원하는 것은 브랜드를 알리는 것이죠. 

소비자가 알아서 자신을 찾아오게 하는 방법입니다.

소비자 역시 브랜드를 가짐으로써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메꿀수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즉 자신의 가치를 알리기 위하여 브랜드를 원하고 기업 역시 그런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합니다.



네번째 소비는 감정에 영향을 받습니다.


사람은 슬픔을 느끼면 물건을 구입하고 싶은 충동이 강하게 나오며 이는 실험으로도 증명이 되었습니다.

또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메꾸기 위하여 소비를 하고 이벙법이 이후 다시 낮아지는 자신의 자존감을 위해 다시 소비를 하게 됩니다 이게 반복이 되어 과소비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쇼핑을 하면 뇌에서 도파민이 나온다고 합니다.

도파민은 신경전달물질로 뇌신경 세포의 흥분 전달 역할을 합니다.

소비를 하면 물건 구입으로 인한 자존감 회복과 도파민 분비가 반복되며 이는  과소비로 이어지며 쇼핑 중독이 됩니다.


특별한 과소비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소비는 없어서는 안될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동영상은 올바른 소비에 관하여 얘기합니다.

소비를 해서 자존감을 세우지 말고 자신을 사랑하고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먼저다.

같은 돈이라고 해도 물건을 사는 것과 경험에 투자를 하는 것은 차후 행복도에 큰차이를 보인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