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웹페이지에서 왜 쓸까요?
여러이유가 있겠지만 제가 느끼기에는 정적인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가 아닐까요?
A라는 버튼을 눌렀을때 A의 화면이 B로 변경한다거나 웹페이지상의 액션에 의해 어떤 상태가 변한다거나 CSS에서도 가능하지만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면 좀더 부드럽고 ,복잡한것들도 가능합니다. 서론이 길었네요 ~~~
이번에는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타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표현하고자 하는 자료에 따라 데이터 타입이 분류됩니다.
데이터 타입에 따라 값을 표기하는 방식도 연산시 동작도 달라집니다.
데이타 타입도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원시형 |
숫자, 문자열, 논리형 |
객체형 |
함수, 객체, undefined(정의되지 않음) |
숫자형 데이타 타입은 연산으로 하며, 문자열은 연결을 하게 됩니다.
예) 3+4 = 7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즉 양변이 다 숫자형이면 산술적 계산을 양변이 "" 큰따움표 안에 들어가는 문자열이면
+ 기호가 연산이 아닌 문자열을 연결하게 됩니다.
한데 주의할 점이 연산기호중 + 기호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형과 문자형을 연결해주는 특별한 의미가 있고 나머지 연산기호는이 -, x(*), ÷(/) 는 문자열이라고 하여도 숫자형으로 형변환하여 연산을 한다는 것입니다.
아래는 자바스크립트로 변수를 더한 값과 변수를 뺀 값입니다.
◆ 자바스크립트 구문 ◆
<head>
<meta charset ="utf-8">
</head>
<body>
<script>
var a = 10;
var b = 5;
var add = a+b;
document.write(add);
document.write("<br>");
var c = 10;
var d = "5";
var add2 = c+d;
document.write(add2);
document.write("<br>");
var e = "10";
var f = "5";
var add3 = e+f;
document.write(add3);
document.write("<hr>");
var a = 10;
var b = 5;
var add = a-b;
document.write(add);
document.write("<br>");
var c = 10;
var d = "5";
var add2 = c-d;
document.write(add2);
document.write("<br>");
var e = "10";
var f = "5";
var add3 = e-f;
document.write(add3);
</script>
</body>
구문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숫자+숫자= 연산,
숫자+"숫자"("" 인해 문자열 인식) = 숫자"숫자"와 같이 나열
"숫자"+"숫자"= "숫자""숫자"와 문자열로 인식해서 나열 하게 됩니다.
하지만 +를 제외한 연산기호 결합은 ""안에들어간 문자열이라고 하여도 "숫자" 가 있으면 연산을 하게 됩니다.
문자열을 구분짓는 따옴표는 큰따옴표 혹은 작은 따옴표 어떤것을 사용하여도 이상이 없지만 여는 따옴표와 닫는 따옴표는 반드시 일치해야합니다.
-- 문자열의 특수문자 --
특수문자 |
설명 |
\n |
개행 |
\r |
리턴 |
\t |
탭 |
\b |
bs 벡스페이스 |
\\ |
\ 역슬래쉬 |
\' |
작은따움표 |
\" |
큰따움표 |
\unnnn |
유니코드 네자리코드 |
\xnn |
라틴문자 두자리 코드 |
html의 문서는 <br> 혹은<p>로 개행을 할수 있지만 이때 사용되는 개행 문자로 \(역슬래쉬)n 이 있습니다.
역슬래쉬는 한글자판에서 \ 자판입니다.
또한 특수문자를 굳이 안쓰더라도 "어디서 들었어" 이런 단어를 표현하고 싶을때
document.write('"어디서 들었어"');
이런식으로 '' 안에 "문자열" 을 넣어서 표기 할수도 있지만 한문장안에 ' ' 와 " " 가 같이 들어갈 경우 (거의 없지만....) 이럴때 특수문자 사용할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수 코드는 document.write( ); 같이 웹페이지 상에 표현 할때는 html이 특수문자를 인정하기 않아서 그냥 공백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alert (""); 같은 대화 상자 출력일때는 표현됩니다.
즉 파일이나 데이타베이스 출력할때 필요합니다.
또 문자열이 길어져 자바스크립트 문장을 내려서 작성하고 싶어서 문자열을 그냥 내리면 에러 표시가 발생하지만 내리고 싶은 문자열 끝에 \ 표시후 아래로 내려서 작성을 하게 되면 연속되는 문자열로 간주합니다.
또는 " " + " " 와 같이 연결도 가능합니다.
아래정리를 해보면
또 논리형이라는 것은 true 혹은 false 딱 두가지 값만 가지며, 주로 조건문(if), 반복문(for) 조건절 등에 사용됩니다.
'프로그램언어 > 자바스크립트 | 제이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타입변환 (0) | 2017.02.10 |
---|---|
자바스크립트 변수 (0) | 2017.02.10 |
자바스크립트 출력문 (0) | 2017.02.02 |
자바스크립트 기초문법과 특징 (2) | 2017.02.01 |
2017년 난 얼마나 벌까 - 자바스크립트 클릭 게임 (0) | 2017.01.26 |